게이지를 낼 때는 도안에서 '콧수 게이지'를 최대한 가깝게 맞춰주세요.

대바늘 편물은 이론상으로 가장자리 A 와 가운데 영역 B 에서 게이지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사각형의 크기가 작을 때는 그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스와치는 최소 15cm 이상 떠야 게이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스와치를 떠도 완성된 편물과 게이지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콧수 게이지와 단수 게이지
같은 실과 같은 바늘을 사용하더라도 콧수와 단수 게이지를 모두 완벽하게 맞추기 어렵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콧수 게이지를 우선시 하며, 단수는 도안에 써 있는 길이(cm) 를 기준으로 잡으면 됩니다.
콧수 게이지가 맞지 않을 때는 바늘 사이즈를 조절합니다.
바늘 사이즈를 조절했을 때 편물의 텐션이 너무 탄탄하거나 흐물거린다면 실의 굵기도 바꿔야 합니다.
뜨면서 크기를 예측하기
스와치를 떠서 완성 사이즈를 예측할 수 없다면 스와치를 안 떠도 될까요?
경험이 어느 정도 쌓이면 스와치를 뜨지 않아도 대충 예상이 됩니다. 스와치를 뜨더라도 변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나는 보통 스와치보다 완성 편물의 게이지가 낮아지더라, 또는 높아지더라, 나는 메리야스 편물은 큰 차이가 없는데 무늬가 많은 경우 게이지가 낮아지더라, 하고 말이죠.
(대부분의 도안은 언급이 없다면 콧수가 가장 많은 부분의 가운데에서 측정하게 됩니다.)
경험이 없을 경우에는 스와치를 떠서 대충이라도 가늠해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중간에도 크기를 확인하여 완성 사이즈를 예측해 보아야 합니다.
상세 치수 확인하기
숲닛츠의 도안에서는 Schematics 가 제공되어 상세 치수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상세 치수에서 각 부분의 크기를 예측하시면 됩니다.
스와치를 뜰 때 세탁 전후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것을 참고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블로킹
블로킹은 게이지를 맞추기 위해 억지로 당기면 안되고, 보기 좋을 만큼 편물을 펴서 블로킹 합니다.
스와치를 블로킹 했다면 완성 편물도 상세 치수에 나와 있는 크기만큼 측정하여 블로킹 합니다.
게이지를 낼 때는 도안에서 '콧수 게이지'를 최대한 가깝게 맞춰주세요.
대바늘 편물은 이론상으로 가장자리 A 와 가운데 영역 B 에서 게이지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사각형의 크기가 작을 때는 그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스와치는 최소 15cm 이상 떠야 게이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스와치를 떠도 완성된 편물과 게이지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콧수 게이지와 단수 게이지
같은 실과 같은 바늘을 사용하더라도 콧수와 단수 게이지를 모두 완벽하게 맞추기 어렵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콧수 게이지를 우선시 하며, 단수는 도안에 써 있는 길이(cm) 를 기준으로 잡으면 됩니다.
콧수 게이지가 맞지 않을 때는 바늘 사이즈를 조절합니다.
바늘 사이즈를 조절했을 때 편물의 텐션이 너무 탄탄하거나 흐물거린다면 실의 굵기도 바꿔야 합니다.
뜨면서 크기를 예측하기
스와치를 떠서 완성 사이즈를 예측할 수 없다면 스와치를 안 떠도 될까요?
경험이 어느 정도 쌓이면 스와치를 뜨지 않아도 대충 예상이 됩니다. 스와치를 뜨더라도 변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나는 보통 스와치보다 완성 편물의 게이지가 낮아지더라, 또는 높아지더라, 나는 메리야스 편물은 큰 차이가 없는데 무늬가 많은 경우 게이지가 낮아지더라, 하고 말이죠.
(대부분의 도안은 언급이 없다면 콧수가 가장 많은 부분의 가운데에서 측정하게 됩니다.)
경험이 없을 경우에는 스와치를 떠서 대충이라도 가늠해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중간에도 크기를 확인하여 완성 사이즈를 예측해 보아야 합니다.
상세 치수 확인하기
숲닛츠의 도안에서는 Schematics 가 제공되어 상세 치수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상세 치수에서 각 부분의 크기를 예측하시면 됩니다.
스와치를 뜰 때 세탁 전후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것을 참고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블로킹
블로킹은 게이지를 맞추기 위해 억지로 당기면 안되고, 보기 좋을 만큼 편물을 펴서 블로킹 합니다.
스와치를 블로킹 했다면 완성 편물도 상세 치수에 나와 있는 크기만큼 측정하여 블로킹 합니다.